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WS EC2 생성하기
    Cloud/AWS 2024. 10. 28. 09:58

    Amazon Web Services(AWS)는 확장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 IT 인프라를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서비스입니다.

     

    Certified Practitioner for Platform Operations(CPPO) 진행하면서 해본 것을 복귀하는 내용입니다.

     

     

     

     

     

    ▶ 내용

    AWS EC2(Elastic Compute Cloud)는 클라우드에서 가상 서버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EC2 인스턴스는 온디맨드, 예약, 스팟 인스턴스 등 다양한 요금제로 제공되며

    Amazon Linux, Ubuntu, Windows Server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컴퓨팅, 메모리, 스토리지 등 용도에 맞게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며

    보안 그룹과 NACL로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를 여러 가용성 영역(AZ)에 분산 배치해 고가용성과 내결함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설정

     

    EC2를 생성할때 '이름 및 태그, Amazon Machine Image(AMI), 인스턴스 유형, 키 페어(로그인), 네트워크 설정' 

    부분을 고려하여 생성하면 됩니다.

     

     

    '이름 및 태그': 인스턴스를 구분하기 쉽도록 이름과 태그를 설정합니다. 태그는 추후 인스턴스 관리와 검색에 유용합니다.

     

    'Amazon Machine Image (AMI)' OS와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이미지입니다.

    필요한 운영체제와 사전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AMI를 선택하면 됩니다.

     

    '인스턴스 유형' CPU, 메모리, 네트워크 성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는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세요.(비용 주의)

     

    '키 페어 (로그인)' SSH를 통해 EC2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방식입니다.

    신규 생성하거나 기존 키 페어를 선택하여 보안을 확보합니다.

     

    '네트워크 설정'

       • VPC: 인스턴스를 배치할 가상 네트워크(VPC)를 선택합니다.

       • 서브넷: VPC 내에서 인스턴스를 특정 네트워크 구역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가용 영역: AWS는 고가용성을 위해 여러 가용 영역에 인스턴스를 분산 배치할 것을 권장합니다.

                         한 가용 영역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는 다른 가용 영역을 통해 지속됩니다.

     

     

    작성 후 하단 오른쪽의 인스턴스 시작 클릭하면 끝!

     

     

     

    ▶ Draw.io

     

    ▶ 결론

     

    정상적으로 ec2가 생성되었다면 항목에서 사진과 같이 확인이 될 것입니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vate Amazon EKS 구성하기  (2) 2024.11.04
    AWS Transit Gateway & Attachment 설정하기  (1) 2024.10.31
    AWS Bastion 구성하기  (0) 2024.10.29
    AWS Subnet 생성하기  (3) 2024.10.26
    AWS VPC 생성하기  (2) 2024.10.25
Designed by Tistory.